카카오뱅크 신한카드? → 5,000원 이상 결제 시 70회 이상 채우면 5만원 캐시백 (전월실적 X) → 14.3% 의 말도안되는 피킹률 (꿀 카드도 피킹률 5% 정도 수준임) → 거기다 배민/요기요, 카카오T 활용 시(전월실적 40↑) 피킹률 15.5.% ....
휴대폰 요금 분할납부로 실적 채우기
1. 기본 원리
① 5월에 휴대폰 소액결제를 해서 휴대폰 사용요금 뻥튀기시킴 ② 6월에 명세서 날라오면 (5월 사용분) ③ 명세서가 확정된 날짜부터 하루마다 5,000원씩 요금 분할납부를 통해 실적 count 시킴 (동일 가맹점은 하루에 1 count 만 인정) ④ 소액결제한 거는 실사용 하거나 현금화 하거나
2. 어디에다 휴대폰 소액결제를 하는지
소액결제야.. 뭐.. 아무데나 할 순 있지만.. 이왕 활용이 좋은 곳에 하는게 좋겠지?
대표적으로 두 곳이 있다
① 모빌리언스 카드 (충전 수수료 3.5%) ② 다날 배터리카드 (충전 수수료 3.3%) / 23.6.30 까지 수수료 0% 이벤트 중
일단 두 카드 모두 선불형충전카드(체크카드와 똑같은 소득공제 가능)임
이번에 다날에서 배터리카드라는게 나왔는데 기존 모빌리언스 카드를 잡을라고 출시했다
플레이스토어 / 앱스토어에서 "다모음" 설치 회원가입 진행 하고 카드 발급 받자
원래는 실물 카드를 수령 하고 카드번호 등 인증해야 충전을 할 수 있는데 이건 신청함과 동시에 충전을 할 수 있다 (실물카드 오기 전에 충전 가능)
근데... 충전을 얼마 해야 하냐고?
3. 얼마를 충전해야하는지?
전월에 사용한 금액을 확정해서 각 통신사마다 아래의 날짜에 명세서를 발송한다 (전월에 사용한 금액 이겁니다~ 하고)
SKT : 매달 5일경 KT : 매달 9-10일경 LG : 매달 8-9일경
(정확한건 통신사에 다시 한번 확인 또는 본인 메일or문자로 날라오는 명세서 날짜 확인)
명세서를 받은 날짜부터 내가 낼 요금에 대해 분할납부가 가능해진다!
그리고 만약 내가 통신사 제휴카드를 쓴다? 하면 최대한 카드 결제일자를 뒤로 미루기 신청! (필수) (통신사 앱에서 설정할 수 있음 잘 못하겠으면 고객센터 전화) 4차로 하면 23-26일 결제일을 뒤로 미뤘을 경우 내가 알고있는 정도는 SK (26일), KT (21일), LG U+ (23~26일) 인데 참고만 하고 다시 확인해보자 (알뜰 포함임)
어쨌든 뒤로 미루면 분할납부를 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나니깐 (즉 = 하루마다 5,000원씩 분할납부 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남)
KT를 예로들면 10일에 명세서를 받으면 받은 후부터 카드 자동이체 날짜(21일) 전까지 매일매일 총 10일동안 5,000원씩 분할납부를 할 수 있다 (10일 당일도 납부 가능함 포함하면 11일)
즉 5,000원 * 10일 = 50,000 원 오만원을 충전하면 이 케이스의 경우 10회 실적을 채울 수 있다 (대신 매일매일 숙제 해야함 주의)
아니면 제휴카드가 없다면? 그러면 더 좋다
납부방법을 지로납부로 하면 월 말로 설정이 가능한데 그 뜻은? 더 길게 납부가 가능하다는 뜻
4. 분할납부 무제한으로 가능함?
1. SKT - SKT는 SKT 본진과 SKT 알뜰이 결제망을 공유하지 않는다 (분리됨)
● 방법 → ARS 통해 납부하기 (매크로 있음! 편함!) → 티월드 어플 통해 할 순 있지만 본인 인증 매번 해야하는 귀찮음 (pass) → ARS 및 앱은 카드당5회가능 → 즉, 타인 카드도 가능. 배우자 SKT 요금을 내 카드로 분할결제 가능 → 가맹점명 SKT 요금납부 로 찍힘
SKT ARS 분할결제 하는 번호는 010-5200-5454 이다 전화 걸어서 안내멘트에 맞게끔 다이얼 입력하자
2) 간편납부 → 본인 카드만 사용 가능 → 제한 없음 → ARS와 가맹점번호가 같음 둘중에 하나만 하기 → https://dt.kt.co.kr/fe/chat/pay.do?key=0deae4f4-9cdb-4692-b0fe-c42158dff46b&pc=&lang=KO
어짜피 KT는 10일 명세서에 21일 카드결제니까.. (지로는 말일이지만) 10회? +@ ? 편한건 ARS가 편함 한번 만들어놓고 전화만 걸면 되니까 ARS 로 10회 채우고 그 뒤로는 간편납부로 ㄱㄱ
또는 KT 스카이라이프는 앱 내에 분할결제가 있음 KTM모바일도 근데 나머지 아이즈라던가 핀다이렉트 등등 나머지 알뜰은 자체 분할결제가 없긴한데 어짜피 KT 결제망과 한몸이라서 KT꺼 그대로 쓰면 됨(ARS, 간편납부)
3. LG U+ - 유플러스 고객센터앱 (당신의 U+) - 청구금액에서 요금바로 납부하기 - 전체/부분 요금 납부 들어가서 5,000 원 납부 - 또는 인터넷 LG U+ 공식 홈페이지에서 - 마이페이지 - 청구요금 및 납부 - 요금바로 납부하기 - 둘 다 가맹점 번호 같음 둘중 하나만 - ARS 는 없음 - 타인 명의 X, 본인 명의의 카드로만 20회 가능
LG 알뜰 - 유모바일의 경우 앱 내에 분할납부 기능이 있음 - 나머지 LG 알뜰은 잘..
5. 근데... 카드 충전한건 어따써?
휴대폰으로 소액결제 해서 그걸 분할납부를 하면서 실적을 채운다...? ㅇㅋ... 근데 충전한 돈은 어떻게 처리해야함..?
1. 모빌리언스카드 1) 오프라인에서 사용 → BC카드를 취급하는 오프라인 전 가맹점 사용가능 → 체크카드와 동일한 소득공제 30% 취급
2) 온라인에서 사용 → 페이북에 카드 추가한다음 온라인 카드결제 시 BC 선택후 결제 가능
3) 기타 → GS25, GS 더프레시, 뚜레쥬르 등 몇몇 가맹점에서 결제 시 추가적립 → 보유한도 200만원 → 네이버삼성페이 O → 세금 납부 가능 (꿀!! 자동차세 재산세 취득세 등 다 가능!!)
2. 배터리카드 1) 오프라인에서 사용 → KB카드를 취급하는 오프라인 전 가맹점 사용가능 → 체크카드와 동일한 소득공제 30% 취급
2) 온라인에서 사용 → ISP 으로 KB 선택후 결제 가능 → 또는 간편결제 (페이북, SK Pay, 스마일페이 에 추가해놓고) 사용 가능
3) 기타 → 보유한도 50만원 → 온라인/오프라인 0.2% 적립(모빌은 없음) → 네이버삼성페이 O (23.8.9 풀림) → 세금 납부 불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