🔹 1단계: RFI (Request for Information, 사전 정보 요청서)

📌 목표: 시장조사 & 가능성 탐색

"우리가 새로운 MES(제조 실행 시스템) 도입을 고려 중인데, 시장에 어떤 솔루션이 있지?"

📌 하는 일:

  • MES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아봄
  • 시장에 어떤 업체가 있는지 조사
  • 어떤 기술이 가능한지 확인
  • 기본적인 기능 및 장점 수집

📌 RFI 문서에 포함할 내용 예시:

  • 도입하려는 시스템의 개요 (예: 스마트팩토리용 MES)
  • 우리가 해결하려는 문제
  • 대략적인 예산 & 도입 일정
  • 주요 요구사항 (예: 클라우드 기반인지, API 지원 여부)

📌 공급업체(벤더)가 보내주는 내용:

  • 자사 제품(솔루션) 소개
  • 기술적 특징, 장점
  • 기존 고객 사례
  • 시장 동향

💡 결과:
우리는 이제 "어떤 MES 시스템이 있는지" 알게 되었고, 몇몇 괜찮은 공급업체를 추려냄.

 

 

🔹 2단계: RFP (Request for Proposal, 제안 요청서)

📌 목표: 상세한 맞춤 제안 받기

"이제 우리가 원하는 기능과 예산에 맞춰서 실제로 제안서를 받아야겠어!"

📌 하는 일:

  • RFI에서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요구사항을 정리
  • 기술, 기능, 예산 등을 명확히 정해서 공급업체들에게 제안 요청
  • 솔루션 제안서를 받아서 검토하고 가장 적합한 업체 선정

📌 RFP 문서에 포함할 내용 예시:

  • 프로젝트 개요 (예: 우리 공장에 MES 도입)
  • 현재 문제점 & 기대 효과
  • 상세한 요구사항
    • 필수 기능 (예: 실시간 생산 모니터링, ERP 연동)
    • 보안 요구사항 (예: 내부망 전용, 접근 제어)
    • 기술적 조건 (예: SQL 기반 DB, REST API 지원)
  • 예산 범위
  • 평가 기준 (예: 성능, 가격, 유지보수 지원 등)
  • 일정 (예: 제안서 제출 기한, 도입 일정)

📌 공급업체(벤더)가 보내주는 내용:

  • 맞춤형 솔루션 제안서
  • 예상 프로젝트 일정
  •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안
  • 예상 비용

💡 결과:
이제 우리는 공급업체들이 보낸 제안서를 비교해서,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MES 업체를 선정하면 됨.

 

 

 

🔹 3단계: RFQ (Request for Quotation, 견적 요청서)

📌 목표: 정확한 비용 비교 & 협상

"이제 최종적으로 가격을 비교하고, 예산에 맞춰 협상을 진행하자!"

📌 하는 일:

  • RFP에서 선정된 몇 개의 최종 후보업체들에게 정확한 가격 요청
  • 기능, 라이선스, 유지보수 비용 등을 세부적으로 비교
  • 예산에 맞춰 협상 진행

📌 RFQ 문서에 포함할 내용 예시:

  • 구매하려는 시스템 및 서비스 범위
  • 라이선스 비용 (예: 사용자 수별, 모듈별 가격)
  • 유지보수 비용 (예: 연간 유지보수 비용)
  • 추가 비용 (예: 커스터마이징, 설치비, 교육비)
  • 납기일 & 결제 조건

📌 공급업체(벤더)가 보내주는 내용:

  • 상세한 가격 견적서
  • 추가 할인 가능 여부
  • 유지보수/AS 정책

💡 결과:
이제 최종적으로 가격을 비교하고 가장 합리적인 조건의 MES 공급업체를 선정하면 됨!

 

 

🔹 정리: RFI → RFP → RFQ 순서대로 진행!


단계 목적 내용
RFI (정보 요청서) 시장조사 & 가능성 확인 "어떤 MES 솔루션이 있나요?"
RFP (제안 요청서) 맞춤 솔루션 제안 요청 "우리 공장에 딱 맞는 MES를 제안해주세요!"
RFQ (견적 요청서) 가격 비교 & 협상 "정확한 가격을 주세요!"

 

 



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립니다! 💕
감사합니다 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