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 1분기 근로자정기교육 산업안전보건법 동절기 질병예방 및 안전

 

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  • 1개의 법률, 1개의 대통령령, 3개의 고용노동부령, 세부적인 기준 및 절차로 이루어져 있다.
  • 효력 순위는 법 > 시행령 > 시행규칙 > 고시 순이다.
  • 상위법령에 위배되는 하위규정은 그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.
  • 근로기준법과 전혀 관련성이 없다.

 

 

사업주의 의무가 아닌 것은?

  • 산업재해 예방 시책 등 준수
  • 안전보건 관리 체제의 구축
  • 방호조치 상실 시 신고
  •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산업재해 예방

 

 

산업안전보건법 벌칙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

  • 법령의 법적 의무이행 담보수단으로 법령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항이다.
  • 형벌과 수강명령은 어떤 경우라도 함께 명령할 수 없다.
  • 의무이행 주체를 처벌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과태료는 근로자에게 부과한다.
  • 과태료는 검사의 기소와 재판을 통해 결정된다.

 

 

 

산업안전보건법 과태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  • 형벌적 의미가 있다
  • 별도 통지 없이 바로 납부해야 한다
  • 행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과되는 제재 수단이다
  • 근로자에게 부과하고 있다

 

 

 

사업주의 일반적인 의무로 옳지 않은 것은?

  • 근로자를 정신적으로 스트레스 받게 괴롭힌다
  • 국가의 산업재해 예방 정책을 준수한다
  • 산업재해 예방 기준을 준수한다
  •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

 

 

 

산업안전보건법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징수하는 사람은?

  • 부모님
  • 간호사
  • 고용노동부 장관
  • 보건 관리자

 

 

체감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  • 1.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낸 지수
  • 2. 옥외 작업자가 실제로 느끼는 온도
  • 3. 기온과 강우량의 조합에 따라 산출되는 지수
  • 4. 단순 기온은 아님

 

 

발을 차가운 물속에 오래 담그고 있거나 습하고 낮은 온도에 장기간 노출로 발생하는 손상으로 조직이 동결된 상태는 아닌 질환은?

  • 1. 동상
  • 2. 참호족 
  • 3. 저체온증
  • 4. 동창

 

 

한랭 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자의 적절한 복장 착용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?

  • 1. 기온과 풍속에 따라 적절한 옷 착용
  • 2. 체온 유지를 위해 3겹 이상의 옷 착용
  • 3. 젖은 작업복은 즉시 갈아 입기
  • 4. 꽉 끼는 의복 착용 

 

 

한랭 일상적 관리 단계에서 한랭 질환 예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• 1. 필요시 상담을 통한 필요한 조치 수행
  • 2.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작업 적합 인력 배치
  • 3. 옥외 작업자 가급적 옥외작업 제한
  • 4. 옥외 작업자의 휴게공간 마련

 

 

다음 중 넘어짐 사고의 예방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• 1. 미끄럼 방지 작업화 착용
  • 2. 비상등 켜고 운전
  • 3. 작업 공간에 적정 조명 확보
  • 4. 계단 이용 시 안전난간을 잡고 이동

 

 

저체온증의 발생 원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?

  • 1. 영상 30℃ 이상에서 주로 발생한다
  • 2. 한파 등 저온에 노출되어 열을 잃어버리는 속도가 열을 만드는 속도보다 빠르면 일어난다
  • 3. 추운 곳에서 자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
  • 4. 비를 맞거나 땀을 흘리고 차가운 물속에 잠기는 상황일 때 더 잘 발생한다
반응형


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립니다! 💕
감사합니다 ✨